2010년에 들어와서는 교회학교의 새로운 패러다임 도입과 교회 설립 60주년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행사로 바빴다. 이어서 지난 2000년대 들어와서 시작한 선교사역이 만개하는 시기였다.
주일학교 교육을 통한 다음세대에 대한 신앙의 전승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면서 주일학교교육에 대한 예산 배정과 인력발굴, 성경 교육에 교회는 힘을 쏟기 시작한다. 현재 우리교회 주일학교의 전체 출석수는 약 550명 정도의 규모를 유지하고 교사수는 150여명에 이른다. 이정도의 사이즈는 지역의 교회들이 주일학교의 숫자가 점차로 줄어드는 것에 비교하면 의미가 있는 회집숫자이다.
2012년부터는 ‘놀토’의 전면 시행으로 대청교회 주일학교도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다. 이에 따라 대청교회 주일학교는 우선, 주일에 한정된 주일학교라는 개념부터 ‘교회학교’로 변경하고 이어서, 주 2일 교회교육시대에 맞는 뚜렷한 비전을 세우기로 하였다. 확장된 교회교육의 시행에 주력하기로 한 것이다. 주 2일 교회교육의 시대에는 교회학교의 편제도 ‘주일부’와 ‘토요일부’로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는 대안도 제시되었으나 이 부분은 아직 연구과제이다.
먼저 이 같은 상황을 돌파할 비전을 세우고 교회적으로 공유하는 것이 따라야한다는데 생각을 같이 하고 교회의 비전을 교육에 무게를 두는데 힘쓰기로 했다. 그리고 하루가 더 생긴 만큼 ‘교육인프라의 확충을 서둘러야한다’는 것도 중요하게 지적되었다.
그러나 가장 우선되는 교육인프라는 질적으로 우수한 교사의 양적인 확보이다. 따라서 교회교육위원회에서는 교사 양성을 위한 멘토교사 교육이라는 체계적인 교사양성 시도에 들어갔다. 멘토교사양육과 차세대 인재양성에 대해서 수십차례의 교사회의와 당회의 승인 교인들에 대한 교양도 병행하면서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이를 위해서 교육위원회는 임상용으로 직접 만든 교재를 가지고 적용을 통해 ‘실무 교재’를 완성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교재의 집필방향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와 대소요리문답’에 기반을 둔 성경중심, 교회중심, 하나님중심의 공교회교육교재를 집필하기로 했다. 교재의 집필은 거기서 가르치는 출발점을 세워나가는데 중점을 두었다.
여기에 더해서 새해인 2014년도부터는 장년교육을 교회의 핵심 교육프로그램으로 세우기 위해서 단독으로 장년양육 위원회를 신설하고 커리큘럼과 교재 교육과정을 세우기 위해 주력하고 있다.
2010년은 선교역사에서도 중요한 전환점을 이루었다. 외국인 섬김의 열매로 대청교회는 설립 60년 역사상 처음으로 12월에 네팔인 4명 중국인 2명의 최초의 외국인 세례자를 배출했다. 이보다 앞서 7월엔 장청 신학원에서 제 1기 12명의 사역자를 배출하였다. 역시 7월엔 교회인근 단독주택 2층에 10 명 정도 취사와 잠자리가 가능한 쉼터를 마련하였다. 토요학교를 마친 외국인들의 주일예배 유인과 병들거나 여러 가지 이유로 잠시 직장을 놓고 오갈 데 없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거처로 마련된 쉼터는 병들고 지친 외국인 나그네들에게 유용하고도 꼭 필요한 거처로 사용되고 있다.